BOOKS
- 영혼의 역사[절판] 그리스 신화와 철학으로 보는
-
시작하며: 책 읽는 영혼에게
제1장 영혼, 태곳적 기원과 개념에 대하여
1 그리스 서사시에서 영혼은 어떻게 탄생하는가
영혼은 어디서 기원하는가 | 영혼은 어디로 가는가 | 영혼은 어디에 있는가
2 그리스 서사시에서 영혼은 얼마나 다양한가
호메로스적 영혼, 의식 없이 떠돌다 | 환영으로서의 영혼, 만질 수도 붙잡을 수도 없다 | 감정과 의식의 원천으로서의 튀모스 | 실천적 사유로서의 프레네스 | 직관적 사유로서의 누스
3 그리스 서정시와 비극에서 영혼 개념은 어떻게 통합되는가
인간 감정의 원천으로서의 영혼
4 그리스 철학은 영혼을 어떻게 보았는가-아리스토텔레스와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의 영혼론
영혼은 운동의 원리이다 | 영혼은 인식의 원리이다 | 영혼은 불멸의 원리이다 | 영혼은 조화가 아니며 생명의 원리이다
제2장 영혼과 시간의 신화: 천구와 더불어 시간이 탄생하다
1 시간이란 무엇인가
2 시간의 기원과 물리적 표상
시간과 운동의 인식 | 시간의 기원과 천체의 생성 | 시간의 신과 천체 운동 | 시간과 운동의 척도 | 시간과 운명의 윤리적 계기
3 시간의 순환과 신비적 표상
오르페우스교의 우주생성 신화 | 시간의 주기와 대우주년 | 방랑자 영혼의 끝없는 윤회
제3장 기억과 상기의 철학: 영원불멸하는 진리를 꿈꾸다
1 시간과 기억의 이미지
학문과 예술의 기원으로서의 기억 | 앎의 원천으로서의 기억 | 기억과 신적인 광기
2 죽음과 망각의 기술
인간의 고통과 맹목적인 희망 | 망각의 본성과 쾌락 | 죽음과 망각의 세계
3 기억과 진리의 상기
우주의 자연법칙과 시간의 극복 | 영혼의 윤회와 탈주 | 기억의 훈련과 영혼의 치유
4 기억과 상기의 영향사
제4장 영혼의 윤회와 금욕: 영혼, 신들의 세계로 비상하다
1 영혼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
2 오르페우스 종교의 윤회설: 영혼의 운명과 윤회
오르페우스에 관한 전승과 해석 | 오르페우스 종교의 영혼의 기원과 특성 | 오르페우스 종교의 인류탄생 신화 | 오르페우스 종교의 영혼불멸론과 윤회설
3 피타고라스학파의 윤회설: 영혼의 정화와 금욕
피타고라스학파의 전승과 해석 | 피타고라스학파의 영혼불멸론과 윤회설 | 영혼의 정화와 금욕주의
4 플라톤의 윤회설: 영혼의 자유와 진리
신체로부터의 영혼의 해방 | 인간의 죄와 영혼의 정화 | 진리의 인식과 영혼의 자유 | 플라톤 철학과 금욕주의의 기원
제5장 영혼의 돌봄과 조화: 추락한 영혼이 자유를 얻다
1 영혼의 문제는 어떻게 변화했는가
2. 영혼의 본성과 삶의 방식
영혼의 부분들과 주요 특성들 | 영혼의 특성과 다섯 가지 정치 체제
3 영혼의 조화와 자기 지배의 원리
영혼의 갈등과 조화 | 영혼의 훈련과 교육
4 영혼의 돌봄과 윤리적 치유
영혼의 훈련과 철학적 성향 | 영혼의 전향과 돌봄
제6장 영혼의 훈련과 글쓰기: 이성이 감정을 벗삼다
1 영혼의 훈련과 타자와의 소통
2 서구의 로고스 중심주의와 영혼의 유희
3 로고스와 파토스의 조화로서의 플라톤의 글쓰기
뮈토스와 로고스의 원리 | 로고스와 파토스의 조화
4 영혼의 돌봄과 치유로서의 글쓰기
제7장 영혼의 탁월성과 훌륭한 삶: 인간으로 사는 법을 배우다
1 그리스의 비극적 인간관과 행복의 추구
2 삶의 목적으로서의 행복과 영혼의 탁월성
삶의 목적으로서의 ‘좋음’ | 삶의 주체로서의 ‘영혼’ | 삶의 훈련 대상으로서의 ‘탁월성’
3 최선의 삶으로 방식으로서의 관조적 삶
인간 삶의 세 종류 | 정치적 삶과 교양교육의 중요성
4 정치적 삶의 대안으로서의 교양교육
제8장 영혼의 고통과 치유: 방황하는 영혼의 평정을 찾다
1 철학의 실천적 역할
2 철학의 목표로서 자기-인식과 자기-지배
자기 인식과 절제 | 영혼의 돌봄과 실천적 활동
3 철학의 방법으로서의 대화
영혼의 훈련으로서의 대화 | 미셸 푸코의 파레시아
4 철학의 기능으로서의 영혼의 치유
영혼의 치료제로서의 철학 | 에피쿠로스학파의 영혼의 치유법 | 스토아학파의 영혼 치유법
참고문헌